무역수지와 경상수지 모두 외국과 거래를 하면서 외화 입출금의 차이를 기록하는 지표입니다. 그런데 경상수지는 상품 수출입에 관계되는 무역수지와 더불어 서비스, 노동임금, 이자 등이 추가로 포함된 더 넓은 의미입니다. 경상수지와 자본수지가 합쳐져서 국제수지라는 개념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각각의 수지에 대한 뜻과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차이는 본원소득과 이전소득수지 포함 여부
경상수지는 상품 수출입의 경과인 상품수지, 운송 및 여행 등에서 나오는 서비스수지, 노동임금 및 자본 이자와 같은 본원소득수지, 무상 원조 등의 이전소득 수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상품수지: 상품무역으로 발생한 외화 입출금 차이
- 서비스수지: 여행, 운송, 보험, 라이센스, 의료 등의 서비스를 외국과 거래로 발생한 외화 입출금 차이
- 본원소득수지: 자국의 근로자가 다른 나라에서 벌어들인 임금, 해외에 자본투자를 통해 벌어들인 배당, 이자 등
- 이전소득수지: 아무 대가 없이 제공된 무상원조
무역수지는 경상수지에서 상품수지와 비슷한 지표이나, 작성시점이나 가격 책정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무역수지는 통관시점을 기준으로 작성을 하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상품수지는 소유권 이전 시점에 작성을 하기 때문에 실제 거래액이 차이가 납니다.
무역수지와 상품수지의 차이는 가격 책정 시점과 방식이 다름
무역수지와 상품수지를 설명할 때 가장 많이 드는 예가 선박입니다. 선박 주문을 받은 후에 계약금, 중도금 등 선박을 만드는 중간에 대금을 지급을 하게 됩니다. 돈을 내게 되면 그만큼의 소유권이 이전이 되었다고 판단하므로 상품수지에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대금 지급 추적이 가능한 한국은행에서 상품수지를 발표를 합니다.
반면에 무역수지는 선박이 완성이 되고 최종 통관수출신고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전체 선박 금액을 수출로 한번에 잡습니다. 그래서 무역수지는 관세청에서 집계하여 발표합니다.
무역수지와 상품수지의 다른 차이점은 가격책정 방식입니다. 특히 수입 가격을 계산할 때 무역수지는 운송료와 보험을 포함을 합니다. 같은 상품일 경우 상품수지보다 무역수지 금액이 크게 계산이 됩니다. 무역용어로 이야기를 하면 상품수지는 수입가격을 FOB (Free on Board) 방식으로 운임과 보험료를 뺀 가격이고, 무역수지는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를 기준으로 수입가격을 산정합니다.
무역수지 적자라도 경상수지는 흑자가 될 수 있다
경제신문을 읽을 때 무역수지나 경상수지가 적자라서 환율이 올라간다는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적자라는 의미는 상품을 더 많이 수입을 해서 외국에 돈을 더 많이 지불을 해야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외 거래에서 주로 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달러를 더 많이 지불을 하려면 한국돈을 팔고 달러를 사야 되므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환율이 오른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유사해 보이는 무역수지와 경상수지가 반대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먼저 설명한 것처럼 경상수지는 무역수지 이외에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이 포함된 더 넒은 범위입니다.
따라서 상품 수출입이 적자가 나와도 다른 항목에서 흑자를 낼 수 있습니다.